신규 및 기존 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 성장을 지원하는 Roblox
-
Roblox의 비전은 브랜드, 크리에이터가 오디언스와 연결되며 아바타, 복장, 액세서리 등을 판매할 수 있는 강력한 공간으로 마켓플레이스를 만드는 것입니다.
-
저희는 최근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에게 마켓플레이스의 문을 열었으며 이제 마켓플레이스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아이템과 수익이 창출되고 있습니다.
-
가까운 시일 내에 크리에이터들이 몸, 복장, 액세서리 등으로 완성된 아바타를 만들고, 판매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매일 7천 950만 명*의 사용자들이 Roblox에서 놀고 친구들과 커뮤니케이션합니다. 크리에이터들은 저희의 플랫폼에서 사람들이 즐기는 거의 모든 것들을 만듭니다. 그리고 쇼핑과 탐색을 위한 목적지, 마켓플레이스에서 많은 것들을 이용하죠. 마켓플레이스의 아바타, 복장, 액세서리 등은 아주 다양해서 사람들이 손쉽게 자신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할 아이템을 만들고 싶어하는 경우 저희의 UGC 프로그램에 있어야만 했는데, 이 프로그램은 초대를 받아야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4월, Roblox에서는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에게 마켓플레이스 크리에이션을 열어 보였습니다******. 모든 분들께 마켓플레이스를 더욱 개인적이고, 다이나믹하며, 접근성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아주 중요한 한 걸음이었죠. 더불어 플랫폼의 사용자님들께 훌륭한 아바타와 아이템을 안정적으로 늘리는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기도 했습니다.
마켓플레이스에 있어 Roblox의 비전은 이곳이 크리에이터, 브랜드가 오디언스와 커뮤니케이션하며 만든 것을 판매하는 강력한 공간이 되는 것입니다. 이제 그 비전은 더욱 현실화되었다고 할 수 있죠. 4월에 크리에이션을 개방한 이후부터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에서는 3D 아바타 아이템을 22% 더 만들어 냈습니다**. 총 4,800명이 넘는 새로운 개인 크리에이터***들이 합류하셔서 계속해서 Roblox 커뮤니티의 한 축이 되어주고 계시죠. 4월에 크리에이션을 공개한 뒤 만들어진 크리에이터 계정****에서는 이미 6월에 전체 크리에이터 총수익의 8%를 차지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늘어난 창작, 구매, 그리고 수익
이러한 변화 덕에 크리에이터들은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아바타 아이템들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Roblox 사용자들은 더 많은 선택지 중에서 원하는 것들을 고르고 구매할 수 있죠. 그러면 크리에이터들은 더 많이 벌고 더 많이 만들어서, Roblox 경제가 활발히 돌아가게 됩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yirusuo 님이나 Evaekoo 님처럼 멋진 크리에이터들이 떠오르고 계시죠.
yirusuo 님은 "헤어스타일 그룹을 막 시작하고 즉시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잔뜩 업로드하기 시작했는데 그 그룹이 바로 엄청난 반응을 얻었어요. 정말 신났죠"라며, "내가 어디까지 할 수 있을지, 얼마나 많이 만들어낼 수 있을지 생각하면 너무 신나서 계속 작업하는 데 큰 동기부여가 됐어요"라 전했습니다.
크리에이션을 개방한 것과 같이, 저희는 건강한 경제를 조성하고 크리에이터 비즈니스를 지원하기 위해 또 새로운 경제적 도구를 선보였습니다. 바로 동적 가격 하한제와 게시 선납입니다. 벌써 이로 인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 달에 50,000 Robux의 수익을 올리는 크리에이터 계정의 수가 6월에는 전년 대비 85%나 증가했으며, 총 월간 크리에이터 수익은 YOY 61% 증가했습니다*****. 작년 한 해에만 Roblox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550만 명의 미국 크리에이터 중 7,500명이 Roblox에서 $650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신규 크리에이터들만 혜택을 보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4월에 UGC 프로그램을 열기 전부터 있었던 크리에이터 계정에서는 총 수익 성장이 3월 YOY 30%부터 6월 50%까지 가속화되는 것을 목도했습니다.
크리에이션이 개방된 뒤 비즈니스가 성장한 좋은 예가 bad_b0y 님입니다. 처음에는 경계하는 태도였으나 이제는 이 이니셔티브의 팬이 된 분이죠. "덕분에 사실 마켓플레이스에 올릴 창작 욕구가 더 불타올랐어요. 그 모든 형태와 크기로 몸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엄청났죠."
정말 고무적인 것은 이러한 움직임 하나하나가 전체 크리에이터 생태계에 선순환을 불러 일으켜 더욱 새로운 기회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사용자들이 크리에이터의 콘텐츠에 애정을 보내면 크리에이터는 계속해서 콘텐츠를 새롭게 만들며 사용자 커뮤니티 전반에 열정이 불어나죠.
사실 Robux가 새로운 아이템(이전 30일 내에 생성된 아이템)에 사용된 비율은 6월에는 3월의 9%에서 더 늘어나 12%가 되었습니다. 결국 다양한 아이템이 생긴 만큼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할 더 많은 방법을 갖게 된 것이죠.
마켓플레이스를 더 개인적이고, 역동적이며, 접근성 있는 공간으로
커뮤니티의 뜨거운 반응을 보여주는 부인할 수 없는 증거 중 하나는, 커뮤니티에서 창작하고 마켓플레이스에 공개된 아바타 아이템 중 거의 18%가 지난 4월 크리에이션 개방 이후에 나왔다는 점입니다.
동시에 크리에이션 개방은 Roblox 전반의 모든 콘텐츠 카테고리에서 다양한 혁신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전체 크리에이터 커뮤니티의 독창성이 결합되면서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자신의 진짜 모습을 표현하는 새로운 패션과 스타일 트렌드가 대거 등장했죠. 브랫 서머, 웨스턴 스타일, Y2K 노스탤지어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제가 Roblox에서 정말 좋아하는 점은 아바타를 만들 때 엄청난 창의성이 발휘된다는 거예요. 착용할 수 있는 액세서리와 아이템의 종류가 끝이 없어요. 어릴 때부터 게임을 할 때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가장 좋아했는데, 이제는 제가 직접 온갖 UGC를 만들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게임에서 다른 사람들이 착용한 걸 보게 되면 정말 기쁘고 뿌듯해요." Evaeko(@Evaekoo) 님의 말입니다.
아바타 창작의 확장
Roblox에서는 앞으로도 크리에이터들이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고, 열정적인 커뮤니티와 더욱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지금 크리에이터들은 마켓플레이스와 체험 내에서 개별 아이템을 따로 게시하고 판매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몇 달 뒤에는 Roblox 사상 처음으로 크리에이터들이 몸, 복장, 액세서리로 구성된 아바타 번들을 마켓플레이스 및 체험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이 변화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있어 큰 도약이 될 겁니다.
아바타와 아이템을 번들로 판매하는 방식은 사용자들에게도 훨씬 편리합니다. 개별 아이템을 따로따로 구매할 필요 없이 한 번에 완성된 스타일을 쇼핑할 수 있으니까요. 저희는 최근 아바타 번들을 검색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출시했으며, 이미 많은 사람들이 개별 액세서리보다 전체 스타일을 구매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크리에이터와 브랜드 모두 창의적인 비전을 온전히 선보이고, 오디언스와의 연결을 강화하며, 수익을 증대할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Roblox 생태계는 커뮤니티가 창작하고 판매할 수 있는 창구와 인센티브가 많을수록 더욱 강력해진다는 걸 잘 알고 있습니다.
지난 4월 크리에이션을 개방한 이후, 크리에이터들이 수익을 창출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저희도 큰 감탄과 흥분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크리에이터들이 더 많은 기회를 통해 성장해 나가며 사용자들이 더욱 자유롭게 자기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될 미래가 기대됩니다.
* 2024년 6월 30일까지의 3개월 기준
** 2024년 4월 13일부터 6월 30일까지 vs 2023년 4월 13일부터 6월 30일까지 비교
*** 개인 크리에이터란 아바타 애셋 크리에이션에 기여하는 고유한 사용자 계정을 의미함
**** 크리에이터 계정은 아바타 애셋을 게시하는 특정 주체를 의미함. 이 주체는 개인 또는 그룹일 수 있으며, 그룹에는 기여하는 여러 사용자 계정이 포함될 수 있음. 6월 총 UGC 수익의 8%는 기존 UGC 프로그램을 넘어 크리에이션이 개방된 이후 생성된 크리에이터 계정에서 발생함
***** 2024년 6월 대 2023년 6월 비교
****** ID 인증을 완료하고, Roblox Premium 1000 또는 2200을 보유하며,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및 마켓플레이스 정책을 지속적으로 준수하는 크리에이터.